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라클 문법] INTERVAL DAY TO SECOND INTERVAL DAY TO SECOND 일, 시, 분, 초를 사용하여 두 날짜간의 기간을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다. INTERVAL DAY(일수에 대한 자릿수) TO SECOND(초에 대한 자릿수) DEFAULT: 2자리 함수를 사용해서 만들 수 있겠지만 오라클에서 만들어놓은 함수이니 사용하는 방법도 좋아보인다. 더보기 01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상념 이 글은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프리미엄 가이드, 김기창 저' 책에 대한 공부 목적의 정리입니다. 1.1 데이터 모델링이 왜 어려운가. 1. 모델링은 데이터의 본질을 통찰해야 하는 추상적인 개념부터 DBMS의 구체적인 특징과 기능까지 알아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음 2. 0점짜리 모델링과 100점짜리 모델링은 존재하지 않지만, 10점에 가까운 모델링과 90점에 가까운 모델링은 존재한다. 그리고 우리는 90점에 가까운 모델링을 지향해야 한다. 1.2 데이터 모델링의 매력 데이터 모델링은 백지상태에서 시작해 데이터 구조가 생성되는, 즉 창작의 과정과 흡사하다는 점이다. 우리가 사랑하는 애인에게 글을 쓸 때도 지웠다 썻다를 반복하듯, 데이터 모델링 과정도 마찬가지이다. 데이터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는 관련자에게 .. 더보기 블로그 시작하며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자신의 포트폴리오 관리 및 기록의 형태로 블로그를 시작한다. 학생 또는 취준생의 경우에는 포트폴리오의 목적이 강할 것이다. 실제로 본인도 그러한 이유에서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이유를 들어보자면, 실제로 개발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다른 블로그를 참고한 경험이 매우 많다. (매우 많다라고 표현하기 미안할 정도로 거의 전부를 차지한다고 본다.) 이러한 이유에서 나의 공부가 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자기만족도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나름 학부 생활동안 전공공부, 이외의 진로에 관한 공부를 많이 했다고 생각하지만, 그에 비해 글로 정리해놓은 결과물은 다른 사람에 비해 현저히 적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지금부터라도 나의 일상 및 공부에 대해 기록해보려 한다. 더보기 [백준/JAVA] 1671 상어의 저녁식사 https://www.acmicpc.net/problem/1671 1671번: 상어의 저녁식사 어떤 상어는 저녁식사로 서로를 먹는다. 모든 상어는 자신과 다른 상어의 크기, 속도, 지능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알고 있다. 만약, 상어 A의 크기, 속도, 지능이 상어 B의 크기, 속도, 지능보다 크 www.acmicpc.net 문제설명 상어가 동족을 잡아 먹으며 몇마리가 살 수 있는지에 대해 묻는 문제 문제풀이 각 상어가 잡아먹을 수 있는 상어를 가르키는 인접리스트 형태로 구현한 후 이분 매칭을 통해 문제를 풀어내면 된다. 1. 크기, 속도, 지능 셋 다 커야 잡아 먹을 수 있음 2. 한 상어가 최대 두마리 까지 먹을 수 있음 3. a상어가 b상어를 먹은 상태라면 b상어는 a상어를 먹을 수 없음 코드 imp.. 더보기 이전 1 2 다음